소주한잔 용량 ml단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소주한잔 용량 ml단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소주는 술 마시는 것을 즐기는 분들이라면 대다수가 빼먹지 않고 먹는 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보통 주량을 말하는 때에도 소주를 기준으로 말할 만큼 자주 먹는 술입니다. 그런 이유로 어디에 있는 식당이나 마트를 가더라도 소주를 손쉽게 살 수 있습니다.
이렇게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는 술이라서 각 가정마다 소주잔 한두개정도는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당연히 맥주 같은 경우에도 소주만큼 많이 먹어서 맥주잔의 경우에도 소주잔처럼 기본적으로 각 가정집마다 있는 경우가 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소주잔/맥주잔과 같이 전용 술잔은 술잔의 디자인은 조금 다를 수 있지만 그런 술잔들 용량은 별로 차이나지 않습니다.
잔마다 용량의 차이가 비슷한 이유는 술이 소비되는 것을 높이기 위한 목적이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소주, 맥주의 정확한 용량을 모르더라도 한병에 몇잔정도 부어 먹는 것이 가능하다 정도는 손쉽게 기억합니다. 그래서 평소 마시는 본인의 주량을 기억하고 있는 것도 쉽고 소주나 맥주를 다시 주문할 때에도 어느정도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소주잔이나 맥주잔을 술을 먹는데만 사용하는 것은 아닙니다. 소주잔과 맥주잔 각각의 용량도 일정한 편이고 집에 보면 한두개씩은 있는 편이어서 음식을 할 때에 계량을 위한 도구로 활용을 하는 분들도 많습니다. 최근 들어서는 TV 대신 유튜브를 많이들 보다보니 유튜브의 요리 채널에서도 재료 용량을 말할 때 애매하게 보다는 한두개씩은 가지고 있는 소주잔이나 맥주잔으로 음식 재료 용량을 표시할 때가 많습니다.
그래서 소주잔 한잔에 들어가는 용량이 얼마인지 알아둔다면 여러가지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소주 한잔에 들어가는 양이 얼마인지와 술에 대한 정보들도 알려드리겠습니다.
소주잔 한잔 가득 따랐을 때의 ml 용량
요즘 팔고 있는 소주 같은 경우에 한병의 용량이 360 밀리리터입니다. 그리고 음식점에서 많이 쓰는 소주잔으로 소주 한병을 나누어서 따르면 7잔을 따르고 절반정도 더 나옵니다. 그 기준으로 나누게 되면 한번 마실때 먹는 소주의 양은 50밀리리터정도 된다고 정리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그 양은 술잔에 끝까지 따르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잔의 3분의 2정도를 채웁니다. 따라서 가장 대중적으로 쓰고 있는 소주잔에 꽉 채우는 용량은 72밀리리터정도 됩니다. 일회용으로 많이들 쓰시는 종이컵도 소주잔 사이즈를 판매중입니다.
이 소주잔의 들어가는 양은 유리 소주잔과 비슷하게 가득 채우면 70ml를 채울 수 있습니다. 맥주 같은 경우에도 소주만큼이나 자주 마시기 때문에 흔하게 사용하는 맥주잔이 집마다 몇개씩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흔히 사용하는 맥주잔 같은 경우에는 한잔에 약 225밀리리터 정도의 용량입니다.
물론 맥주를 만드는 브랜드마다 자체 맞춤 전용잔을 제작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렇게 만들어진 맥주잔의 경우 잔마다 용량이 다르게 제작되니 이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소주에 관련된 재미있는 이야기
전통 소주를 생산 방법인 증류식 같은 경우 쌀이 주원료이기 때문에 한국전쟁 이후의 식량난으로 인해 기존의 제조방식이 금지되었습니다. 그것을 대신하기 위해서 정부 정책적으로 현재의 소주제조 방식을 보급하기 시작했고 국내로 처음 도입된 것은 일제강점기 시기였습니다.
소주를 만드는 재료인 주정의 경우 소주제조사에서 만드는 것이 아니라 주정만 생산하는 업체에서 만들고 있습니다. 물론 소주 제조회사 중에서도 주정을 만드는 것이 가능한 회사도 있으나 이 주정과 주정을 만드는데 원료가 되는 곡물은 정부의 통제를 받고 있다보니 마음대로 생산하지 못합니다.
술을 마실 때 가끔 소주 뚜껑을 따기전에 소주병을 흔들고 병을 딴 뒤 병목을 치며 소주를 조금 버리는 것을 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런 행동을 하는 이유는 과거 소주를 제조할 때 장비가 열악해서 공업용 메탄올이 소주에 조금씩 섞여서 메탄올을 버리기 위한 행동이었습니다. 알고보면 메탄올이 섞여있다는 것도 확인되지 않았고 메탄올이 섞였다고 해도 소주병을 흔들면 이미 소주내부에 균일하게 섞여버려서 굳이 할 필요가 없는 행동입니다.
요즘에 들어서는 술을 먹는 자리에서 흥을 돋구어 주기 위한 퍼포먼스로서 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또 카더라 통신과 같은 말로는 주류회사 입장에서는 그런 방식으로 술이 조금씩이라도 버려지면 전체적인 판매량을 봤을때 무시할 수 없는 양이 되다보니 직접 그런 소문을 낸다는 소리도 있습니다. 이런 내용도 역시나 확인되지 않은 이야기이기 때문에 재미로 보는 것이 낫습니다.
소주와 보드카는 생산하는 것이 비슷합니다. 그렇다보니 보드카를 구입한 다음 비율을 맞춰 물을 섞어주고 설탕을 넣어주면 시중에 판매중인 소주와 동일한 맛이 납니다. 소주의 도수는 거의 대부분 25도인 제품을 판매하였습니다. 그러다가 참이슬이 처음 23도로 출시가 되었고 도수가 낮은 소주가 유행을 하게 되었습니다.
요즘에는 소주의 도수가 14도까지 낮아진 소주도 판매될만큼 도수가 많이 낮아졌고 도리어 도수가 20도 이상인 소주는 찾는 것이 힘듭니다. 소주의 도수가 낮아질수록 술을 만드는 원가는 낮아지고 반면 술의 매출은 상승하게 됩니다. 하지만 도수가 낮아지면 미묘하게 술맛이 변하기 때문에 여러 첨가물을 넣어 소주의 맛을 끌어올리려 노력을 합니다.
원래 먹고난 소주병의 경우에는 수거한 뒤 다시 재사용합니다. 소주를 만드는 회사는 달라도 병을 같이 사용하기 때문에 제조사 구분없이 병을 수거해서 재활용을 했습니다. 그러나 개별 디자인의 소주병을 사용하는 진로 이즈백이 출시가 되며 공동으로 병을 수거하고 재활용하는 것에 잡음이 발생하게 됩니다.
공동으로 공병을 사용하는 이유가 수거과정이 간소해지고 자동화처리로 병을 재활용하면 비용이 절감되기 때문인데 다른 종류의 병이 포함되어 있을때에는 따로 분류를 해야하기 때문에 비용이 더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새로운 디자인의 소주병은 소비자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으며 판매량도 늘어나다보니 다른 소주제조사와 공병을 수거하는 부분에서 트러블이 일어나게 되었습니다. 이런 마찰에 대해서는 재활용하는 과정에서 추가로 발생하는 비용에 대해서는 진로측에서 부담하는 조건으로 해결을 하였습니다.
가격이 저렴해서 서민들의 술을 대표하는 소주에 대한 몇가지 내용들을 다루어 보았습니다. 저렴해서 그만큼 흔하지만 몰랐었던 부분들을 정리해 보았으니 알고있으면 술자리 안주삼아 가볍게 이야기 해보는 것도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이 블로그 다른 글 보기